일반논문

31 December 2023. pp. 103~131
Abstract
이 글은 한국불교 법화계 종단인 영산법화종의 서울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의 양상과 특징을 전통불교종단의 관음시식 의례와 비교하여 살펴본 글이다.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는 『천도 법요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시식의례의 일반적인 기본구조에 따르면 청을 했으면 찬탄하고 공양하는 오신과 신에게 부탁하는 呪願과 祝願을 하고, 본래 있는 자리로 보내드리는 송신의식으로 구성된다. 서울 영산법화사 『천도 법요식』의 의례 구조를 위의 기준으로, 삼보례에서 신을 청하는 소청(召請)까지의 첫째 단계와 찬탄 공양 및 주원과 축원 당구가피 의식까지를 둘째의 오신(娛神)으로 보고, 셋째 보내드리는 봉송까지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영산법화사의 『천도 법요식』에는 전통불교 종단의 시식에 나타나는 ‘觀想만 하라’고 하고 있고, 따로 변재 삼보를 소청하는 의식이 보이지 않으며, 또 게송 이후 진언이 나타나지 않는다. 모든 의식이 관상하는 의식이고, 가피를 구하는 당구가피(當求加被)를 귀의라고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ex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ritual ceremony at Seoul Yeongsan Beophwasa, which is the head temple of the Yeongsan Beophwa sect, one of the traditional Buddhist sects in Korea, in comparison to the Avalokiteshvara ritual ceremony of traditional Buddhist sects. The ceremony at Yeongsan Beophwasa is based on the "Cheondo Beopyo Sik" and, following the general structure of ritual ceremonies, involves requesting the presence of deities, praising and making offerings, and conveying the spirits back to their original pla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criteria, the ritual structure of “Cheondo Beopyo Sik” at Seoul Yeongsan Beophwas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ncludes the initial steps from inviting the deities during the Sambo ceremony to the second stage, which involves requesting the presence of the spirits (娛神), praising, offering, and conducting rituals such as Juwon (a ritual to request divine protection) and Chukwon Danggu Gapi (a ritual to drive away evil spirits). The third stage consists of the sending-off ceremony. In contrast to traditional Buddhist sects, “Cheondo Beopyo Sik” at Yeongsan Beophwasa emphasizes “just contemplate” without a separate ritual for inviting deities. Additionally, there is no distinct ceremony for requesting divine protection during the Sambo ceremony, and there are no teachings after the chanting. It is evident that all the ceremonies focus on contemplation, and the ritual of seeking divine protection is understood as Gapi (加被) for the ears.
References
  1. 西晉 竺法護譯, 『佛說文殊師利現寶藏經』(T12).
  2. 唐 義淨譯,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T24).
  3. 『妙法蓮華經』(T9).
  4. 『大般涅槃經』(T12).
  5. 刊經都監(1464), 『金剛經諺解』.
  6. 鳩摩羅什 譯, 『妙法蓮華經』(T9).
  7. 智還(1723),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KR3).
  8. 不空 譯, 『瑜伽集要救阿難陀羅尼焰口軌儀經』(T21).
  9. 『佛說救拔焰口餓鬼陀羅尼經』(T21).
  10. 實叉難陀 譯, 『地藏菩薩本願經』(T13).
  11. 학조 역(1496), 『진언권공』(KR2).
  12.  

  13. 김월운(1991). 『日用儀式隨聞記』. 중앙승가대출판국.
  14. 김학량(1988). 『천도법요식』. 영산법화사출판부.
  15. 대한불교조계종포교원(2003). 『통일법요집』. 조계종출판사.
  16. 신규탁 외(2015). 『일대사인연 반세기와 미래』. 대한불교관음종ㆍ현대불교문화학술원.
  17. 李庚五(1992). 『한국신흥종교총람』. 한국신흥종교연구원ㆍ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18. 이법화(1993). 『법화경요문과 예규(法華經要門과 禮規)』. 영산법화사 출판부.
  19. 이성운(2018). 『불교의례, 그 몸짓의 철학』. 조계종출판사.
  20. 岸本英夫(1983). 『종교학』, 박인재 역. 김영사.
  21. 安震湖編(1935/1980). 『釋門儀範』. 法輪社.
  22. 이정숙(1988/2013). 『법화경 천도법요식』. 법화홍통원, 도서출판 학수림.
  23. 정오(2022). 『예식의궤』. 경제어산연구소.
  24.  

  25. 김방용(1998). 「한국불교계 신생종단의 성립과 사상」, 『한국종교』, 제23집. 익산: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6. 심상현(2014). 「施食과 靈飯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 제72집. 서울 : 한국불교학회.
  27. 신용산(2019). 「『법화경』 서사의 상징을 통해 본 사회적 실천성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李璟雨(1986). 「법화계열 종단들」, 『한국불교의 현상』. 불교사상.
  29. 이성운(2011). 「한국불교 시식의문의 성립과 특성」, 『불교학보』, 제57집, 서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30. 이성운(2012). 「한국불교 의례체계 연구(시식ㆍ공양ㆍ의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성운(2015). 「의례와 신행의 특성」, 『일대사인연 반세기와 미래』. 서울: 도서출판 범성.
  32. 이성운(2017). 「근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 『불교문예연구』, 제9집. 서울: 동방대불교문예연구소.
  33. 이성운ㆍ문기조(2022), 「불교의 추천ㆍ초도 의례」, 『선문화연구』, 제33집. 서울: 선리연구원.
  34. 종범(1983). 「법화신앙과 관음신앙」,『석림』, 17. 서울: 동국대학교 석림회.
  35. 전영숙(2021). 「한국불교 법화계종단의 예송의례」, 『불교문예연구』, 제18집.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36.  

  37. 불교저널, http://www.buddhismjournal.com. 2023. 2. 27 검색.
  38. 대한불교불입종, http://www.bomunsa.or.kr/. 2023. 4. 20 검색.
  39. 대한불교보문종 http://www.bomunsa.or.kr/. 2023. 4. 15 검색.
  40. 대한불교천태종 http://www.cheontae.org. 2023. 5. 10 검색.
  41. 대한불교관음종 http://www.kwanum.or.kr/. 2023. 3. 26 검색.
  42. 대한불교일승종 http://www.ilseung.or.kr/. 2023.3.26. 검색.
  43. https://ksdsang0924.tistory.com/9148. 2023. 3. 26 검색.
  44. https://band.us/@buddharanya. 2023. 8. 15 검색.
  45.  

  46. 유인물: 영산법화사, 『법당용 기초 교리 1』.
Information
  • Publisher :불교의례문화연구소
  • Publisher(Ko) :불교의례문화연구소
  • Journal Title :Intangible Culture
  • Journal Title(Ko) :무형문화연구
  • Volume : 11
  • No :0
  • Pages :103~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