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논문

    한국불교의 특성에 관한 기초적 이해

    A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이병욱

    Lee, Byung Wook

    이 글에서는 한국불교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한국불교의 특성으로서 회통불교에 대해 살펴본다. 한국불교의 특성이 회통불교에 있다는 주장에 대해 찬성과 반대의 논의가 …

    In this paper, I wil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chapter two, I study interpenetrated buddhism as the characteristics of …

    + READ MORE
    이 글에서는 한국불교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한국불교의 특성으로서 회통불교에 대해 살펴본다. 한국불교의 특성이 회통불교에 있다는 주장에 대해 찬성과 반대의 논의가 있다. 여기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의를 간단히 서술하고, 최병헌과 길희성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최병헌은 통불교 담론이 일제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그 시대에는 순기능을 한 것이지만 현재에는 순기능이 사라진 것이라고 보고 있고, 통불교 담론이 원효, 의천, 지눌, 휴정 등 몇 사람의 사상에 한정된 것이라고 비판적으로 본다. 필자는 이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에 서 있다. 그리고 길희성은 현재의 조계종 중심으로 한국불교를 보고자 해서 ‘선’에 비중을 두는 ‘선교융합’이 한국불교의 특성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길희성의 주장에도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국불교사의 전반적 흐름을 개관하는 입장에 서서 원효의 화쟁사상의 관점에서 한국불교의 특성을 읽어내고자 한다. 3장에서는 한국불교의 특성으로서 호국불교에 대해 살펴본다. 고려시대의 호국불교의 활동과 조선시대의 호국불교의 활동에 대해 서술하고, 호국불교에 대한 몇 가지 비판적 관점에 대해 재검토한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에 일정 부분 타당성이 있지만, 필자는 호국불교가 한국불교의 특성이 될 수 있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chapter two, I study interpenetrated buddhism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 describe the agreement and opposition about the interpenetrated buddhism briefly, and study the argument of Choi Byung Heon and Gil Hi Seong critically. Choi Byung Heon says that the discourse of ecumenical(tong) buddhism was coming into existence during the tim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he criticizes that the discourse of ecumenical(tong) buddhism is restricted the thought of a few person that is Wonhyo, Uicheon, Jinul, HuJeong. But I does not agree the criticism of Choi Byung Heon. Gil Hi Seong insists that unity of the meditation and doctrinal schools to put weight on the meditation schools(zen) 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 think the insistence of Gil Hi Seong has the validity, but I wil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from viewpoint of Wonhyo's hwajaeng thought, because I will survey the general flow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 chapter three, I examine state-protecting buddhism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Here, I describe the activities of state-protecting buddhism during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nd reexamine some critical perspectives on state-protecting buddhism. Although this critical perspectives have some validity, I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state-protecting buddhism can b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 COLLAPSE
    31 December 2023
  • 일반논문

    부뙨과 샤루사(夏魯寺), 그리고 티벳불교

    Bu-ston, Shalu Temple (夏魯寺), and Tibetan Buddhism

    박대용(동광)

    Park, Daeyong (Ven. Dongkwang)

    부뙨(1290-1364)은 티벳 불교사를 거론할 때 반드시 짚고 가야 할 상징적 인물이다. 부뙨은 1320년에 사캬파의 대표적 사원인 샤루사(夏魯寺)의 주지로 와서, 1322년에 고전 인도불교 …

    Bu-ston (1290-1364) is a symbolic figure that must be mentioned at least once when discussing the history of Tibetan Buddhism. In 1320, …

    + READ MORE
    부뙨(1290-1364)은 티벳 불교사를 거론할 때 반드시 짚고 가야 할 상징적 인물이다. 부뙨은 1320년에 사캬파의 대표적 사원인 샤루사(夏魯寺)의 주지로 와서, 1322년에 고전 인도불교 논사들을 상세히 소개한 『부뙨불교사』(Bu-ston Chos ’byung 부뙨쫴중)를 저술했다. 이 책은 고전 인도불교를 연구하는 이들은 꼭 읽어봐야 할 중요한 텍스트이다. 1084년에 건립된 샤루사는 문화혁명 때 본당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파괴됨에 따라, 1988년 중국 국무원에서 국가보호주요문화재로 지정하면서 최근 활발한 복원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사원은 현재 중국의 서장자치구 시가체시의 동남쪽 20여km를 지난 작은 마을에 위치해 있다. 지정학적으로 이 곳은 티벳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면서 아래로는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와 길을 맞대고 있고, 동쪽으로는 라싸와 청해성을 거쳐 중국 내륙으로 이어져 있다. 따라서 이 사원은 장족과 한족의 건축 양식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내부의 불상이나 벽화도 인도, 네팔, 티벳, 중국의 미술 양식이 한데 뒤섞인 독특한 ‘샤루 스타일(Shalu Style)’을 풍기고 있다. 본문에서는 13~14세기 티벳불교를 주도한 사캬파와 샤류사, 그리고 부뙨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해보고자 한다. 필자가 특히 주목한 해는 “1320년”인데, 이 해에 부뙨이 샤루사에 왔을 뿐 아니라 고려의 충선왕도 대도에서 사캬사로 유배를 온 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전자의 내용에만 주목하고, 후자는 차후 연구 과제로 남겨두겠다.


    Bu-ston (1290-1364) is a symbolic figure that must be mentioned at least once when discussing the history of Tibetan Buddhism. In 1320, Bu-ston came as the head monk of Shalu Temple (夏魯寺), a representative temple of Sa kya pa, and in 1322, he published the Bu-ston Chos ’byung, which introduced in detail the writings of Classical Indian Buddhism. This text is an extremely important text that must be referenced by those studying Classical Indian Buddhism. Meanwhile, as most of the buildings of Shalu Temple, built in 1084, except the main temple were destroy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ly protected major cultural property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 in 1988, and active restoration work is being carried out recently. This temple is located in a small village about 20km southeast of Shigatse City, Xijiang Autonomous Region, China. Geographically, it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ibet, bordering India, Nepal, Bhutan, and Myanmar to the east, and connects to the inland of China through Lhasa and Qinghai Province to the east. Therefore, this temp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Zhuang and Han Chinese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Buddhist statues and murals inside also exude a unique ‘Shalu Style’ that is a mixture of the art styles of India, Nepal, Tibet, and China. Accordingly, in this text, we will look at Sa skya pa, Shalu Temple, and Bu-ston, who led Tibetan Buddhism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from various angles. The year that I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was 1320, which was not only the year that Bu-ston came to Shalu Temple, but also the year that King Chungseon of Goryeo was exiled from Daedo to Sa skya Temple. However, in this paper, due to space constraints, we will focus only on the former and leave the latter for future research.

    - COLLAPSE
    31 December 2023
  • 일반논문

    초기경전에 나타난 재가자의 보시와 사무량심 수행

    A Study on layperson’s Dāna and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장성우

    Jang, Sungwoo

    초기 경전에 나타난 출가자 수행은 계ㆍ정ㆍ혜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재가자는 출가자와 같이 많은 계율을 지니거나 선정 수행에 몰두하기 어려워 오계와 같은 …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actices of the monks and the layperson, and the monks practiced …

    + READ MORE
    초기 경전에 나타난 출가자 수행은 계ㆍ정ㆍ혜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재가자는 출가자와 같이 많은 계율을 지니거나 선정 수행에 몰두하기 어려워 오계와 같은 간단한 계율을 지키면서 수행에서는 보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시는 사무량심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사무량심은 번뇌를 대치하는 데 효과적이며 해탈도(解脫道) 수행이 되기도 한다. 먼저 보시는 자비심에서 비롯하며, 보시하여 기뻐하는 마음을 내면, 곧 즐거움이 있어서 뜻이 견고해지며 문득 즐거움과 괴로움이 있음을 알고서 돌이켜 뉘우쳐서 여실하게 고집멸도가 있음을 알게 되는 공덕이 따른다고 하였다. 그리고 보시는 평등하게 실천하여야 하는데, 평등한 마음으로 보시해야 한다는 것은 보시하는 사람의 세속적 애증과 원친에 따라서 보시하려는 마음을 제어하고 차별 없는 마음을 가지고 보시해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보시하면서 자비심을 닦고, 환희심을 일으키고, 평등한 마음을 닦는다면, 보시의 실천이 곧 자비희사의 사무량심 수행과 관련된다. 그리고, 붓다의 깨달음 과정을 보면 자비심은 사선정을 통하여 완전한 해탈과 열반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진정한 보시를 실천하면서 자비희사의 사무량심을 닦는 건 해탈과 열반에 도달하기 위한 조건을 갖추는 수행이 된다. 나아가 재가자가 바른 경제생활로 재화를 축적하여 생활하면서 보시를 통한 사무량심을 수행한다면 해탈과 열반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actices of the monks and the layperson, and the monks practiced precepts, meditation, and wisdom as the basis for the practice, but the Dāna is important for the layperson. Dāna is a practice of building merit, but it also has the meaning of practice, and in this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nd Dāna is reviewed. Dāna is deeply related to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at is, Maitri and Karuna and Mudita and Upekkha.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more meritorious than any other donation or the devotion of the precepts. Even for a moment, the merit of cultivating Maitri is very great, and it is said that the merit of practice of completing wisdom is greater than the merit of cultivating Maitri.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a practice that both a layman and a Buddhist monk can practice, but the process of the Buddha's Enlightment makes it a prerequisite for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through the four stages of dhyana.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iew that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are possible only by carrying out the four immeasurable minds, but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the Buddha's Enlightment, it can be said that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in the process of reaching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through the four stages of dhyana rather than practitioner of Buddha-dharma could be reaching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through the four immeasurable minds onl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uddha, it cannot be said that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are possible only by the four immeasurable minds. However, since the sincere Dāna of the layman enables the performan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e sincere Dāna of the layman can be a practice that meets the important requirements to reach complete liberation and nirvana. Therefore, a layman can live by accumulating goods with a good economic life, while pursuing liberation and nirvana through the four immeasurable minds with Dāna.

    - COLLAPSE
    31 December 2023
  • 일반논문

    불교의 음식공양, 그 식법(食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Āhāra-dharma of food offerimg in Buddhism

    강향임

    Kang, Hyang-im

    불교의 공양 중 특히 음식공양은 석가모니 재세시로부터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정각을 위한 수행자의 신체유지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음식공양과 관련되는 식법이라는 개념은 …

    Among Buddhist offerings, the provide food and drink in particular must have been an important part since the time of Shakyamuni. It …

    + READ MORE
    불교의 공양 중 특히 음식공양은 석가모니 재세시로부터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정각을 위한 수행자의 신체유지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음식공양과 관련되는 식법이라는 개념은 현재까지도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개념이다. 하지만 불교 경전에서 식법은 사소하게 다뤄지지 않는 개념이다. 초기불교 수행자들의 걸식, 이 걸식의 근거가 되는 사의법, 청정행을 계율로 여겨 사부정식을 따르지 않는 불제자들, 십이두타행에서의 음식과 관련되는 다섯 가지의 율의, 세간사식 및 출세간오식 등 수행자들의 음식공양과 관련되는 계와 율, 그리고 음식을 대하는 수행자의 마음가짐 등을 통틀어서 초기불교의 식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식법이 음식에 대한 계율 및 그 마음가짐에 초점이 있었다면, 대승불교에서의 식법은 법식(法食)으로 전개되어 음식 관법수행 등으로 발전하였고, 수행을 위주로 하는 밀교행자들에게는 율의적 식법이 더욱 강화되어 적용되었으며, 특히 밀교경궤에 의거하여 삼부, 즉 불부ㆍ연화부ㆍ금강부 등에 음식을 공양한 것은 기존의 식법과는 다른 것이었다. 초기 대승불교 경전에서의 화공양, 육법공양 등은 만다라 작법을 통하여 삼부에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으로, 『소실지갈라경』 및 그 공양법 등 초기 밀교경전에서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중기 밀교경전인 『대일경』에서부터는 삼부 내지 오부(五部)에 공양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불교의 식법은 향후 ‘불교 식법의 체계’라는 명제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Among Buddhist offerings, the provide food and drink in particular must have been an important part since the time of Shakyamuni. It is the most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practitioner's body for correct enlightenment. The concept of Āhāra-dharma related to provide food and drink is a concept that still feels somewhat unfamiliar to this day. However, in Buddhist scriptures, Āhāra-dharma is a concept that is dealt with frequently. Begging for food of early Buddhist practitioners, the four seeds of holiness on which this begging for food is based, Buddhist disciples who do not follow the four uncleanness foods because they consider practicing purity to be a precept, the five restrains related to food in the twelve kinds of practices of intensified discipline, practitioners of the four worldly kinds of food and the five supramundane kinds of food, etc. It can be said to be the Āhāra-dharma of early Buddhism, including the precepts and rules related to food offerings, as well as the practitioner's attitude toward food. If these early Buddhist Āhāra-dharma focused on the precepts and mindset regarding food, the Āhāra-dharma in Mahayana Buddhism were developed into dharmic diet and developed into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for the Dharma on food. For practitioners of esoteric Buddhism who focus on carry out or perform, the restrained Āhāra-dharma was further strengthened and applied, in particular, the offering of food to the three divisions, that is, Buddha-groups, a part of lotus flower, and vajra group, based on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Āhāra-dharma. In the early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offerings of flowers, six dharma offerings, etc. are rituals of offering food to the three divisions through mandala rules of behavior, and began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early esoteric scriptures such as Susiddhi-tantra and its offering method, and in middle period esoteric scriptures, from Mahāvairocana-sūtra, offerings began to be made to the three to five divisions. This kind of Āhāra-dharma for Buddhism seems to require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under the proposition of ‘The Systematic of Buddhist Āhāra-dharma’.

    - COLLAPSE
    31 December 2023
  • 일반논문

    한국불교 법화계 종단의 시식의례 연구 - 서울 영산법화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isik(施食) Rituals in the Beobhwa Order of Korean Buddhism- Focusing on Seoul Yeongsan Beophwasa Temple -

    김서율

    Kim, Seo-yul

    이 글은 한국불교 법화계 종단인 영산법화종의 서울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의 양상과 특징을 전통불교종단의 관음시식 의례와 비교하여 살펴본 글이다.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는 『천도 법요식』을 바탕으로 …

    This tex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ritual ceremony at Seoul Yeongsan Beophwasa, which is the head temple of the …

    + READ MORE
    이 글은 한국불교 법화계 종단인 영산법화종의 서울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의 양상과 특징을 전통불교종단의 관음시식 의례와 비교하여 살펴본 글이다. 영산법화사의 시식의례는 『천도 법요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시식의례의 일반적인 기본구조에 따르면 청을 했으면 찬탄하고 공양하는 오신과 신에게 부탁하는 呪願과 祝願을 하고, 본래 있는 자리로 보내드리는 송신의식으로 구성된다. 서울 영산법화사 『천도 법요식』의 의례 구조를 위의 기준으로, 삼보례에서 신을 청하는 소청(召請)까지의 첫째 단계와 찬탄 공양 및 주원과 축원 당구가피 의식까지를 둘째의 오신(娛神)으로 보고, 셋째 보내드리는 봉송까지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영산법화사의 『천도 법요식』에는 전통불교 종단의 시식에 나타나는 ‘觀想만 하라’고 하고 있고, 따로 변재 삼보를 소청하는 의식이 보이지 않으며, 또 게송 이후 진언이 나타나지 않는다. 모든 의식이 관상하는 의식이고, 가피를 구하는 당구가피(當求加被)를 귀의라고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ex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ritual ceremony at Seoul Yeongsan Beophwasa, which is the head temple of the Yeongsan Beophwa sect, one of the traditional Buddhist sects in Korea, in comparison to the Avalokiteshvara ritual ceremony of traditional Buddhist sects. The ceremony at Yeongsan Beophwasa is based on the "Cheondo Beopyo Sik" and, following the general structure of ritual ceremonies, involves requesting the presence of deities, praising and making offerings, and conveying the spirits back to their original pla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criteria, the ritual structure of “Cheondo Beopyo Sik” at Seoul Yeongsan Beophwas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ncludes the initial steps from inviting the deities during the Sambo ceremony to the second stage, which involves requesting the presence of the spirits (娛神), praising, offering, and conducting rituals such as Juwon (a ritual to request divine protection) and Chukwon Danggu Gapi (a ritual to drive away evil spirits). The third stage consists of the sending-off ceremony. In contrast to traditional Buddhist sects, “Cheondo Beopyo Sik” at Yeongsan Beophwasa emphasizes “just contemplate” without a separate ritual for inviting deities. Additionally, there is no distinct ceremony for requesting divine protection during the Sambo ceremony, and there are no teachings after the chanting. It is evident that all the ceremonies focus on contemplation, and the ritual of seeking divine protection is understood as Gapi (加被) for the ears.

    - COLLAPSE
    31 December 2023
  • 일반논문

    계절의 번역: 금광명경Suvarṇabhāsottamasūtra에 나타난 인도 의학지식과 동아시아의 수용

    The Translation of the Seasons: The East Asian Adaptation of the Medical Knowledges in Suvarņabhāsottamasūtra

    심재관

    Shim, Jaekwan

    『금광명경(金光明經)』은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 모두에서 널리 유통되었던 경전이다. 이 경전 속의 Vyādhi-praśamana章(「除病品」)은, 분량이 비교적 짧지만, 적어도 5세기 이전에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기초적인 …

    The Suvarṇabhāsottamasūtra (Sutra of Golden Light) was one of the popular Indian Mahāyana Buddhist scriptures widely circulated in both Central and …

    + READ MORE
    『금광명경(金光明經)』은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 모두에서 널리 유통되었던 경전이다. 이 경전 속의 Vyādhi-praśamana章(「除病品」)은, 분량이 비교적 짧지만, 적어도 5세기 이전에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기초적인 인도의 의학지식 일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학지식은 이 경전의 한역을 통해 한중일 세 나라에 전해졌으며, 여러 주석과 그에 대한 교차 인용을 통해 비교적 인도의학 지식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그 내용은 계절의 변화와 인체의 기질적 구분, 그리고 음식의 성질에 대한 것이다. 고대 인도에서는 세계의 물상(物象)이 세 가지 기운, 즉 뜨리-도샤(3質, tri-doṣa)의 일정한 구성비율에 의해 개별적인 성질을 갖는다고 보는데, 계절과 인체, 음식 이 세 가지도 뜨리-도샤에 대응시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계절이 변화함에 따라 인체에 도샤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그에 의해서 병이 일어나게 된다. 그 치료도 또한 병을 일으키는 계절의 변화와 그를 보완하는 음식의 섭생에 기초한 것이다. 「제병품」은 이러한 병의 원인과 치유법에 관한 인도의학의 원칙적인 내용들을 전하고 있다. 간단하지만, 이러한 인도의 의학지식이 한역되어 동아시아에 전해졌을 때, 그 수용과정은 쉽지 않았을 것이라 판단된다. 왜냐하면 이미 기존에 동아시아에는 음양오행에 기초한 고유의 의학체계가 정착되고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질병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계절이나 인체, 음식에 대한 이해도 완전히 인도 체계와는 다른 음양오행의 관념 체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질병의 치료를 위한 음식을 구하거나 그 음식의 성격을 파악하는 일도 쉽지 않았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신라의 원효와 같은 동아시아의 주석가들이 이 제병품을 주석하면서 뜨리도샤에 의한 병의 발생과 그 치료를 음양오행의 해석으로 바꾸어 설명한 것은, 굉장히 적극적이면서도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판단된다.


    The Suvarṇabhāsottamasūtra (Sutra of Golden Light) was one of the popular Indian Mahāyana Buddhist scriptures widely circulated in both Central and East Asia. In this text, “Vyādhi-praśamana parivarta,” the “Chapter on Eliminating Disease”(除病品), while relatively short, contains some fundamental Indian medical knowledge that can be estimated to have circulated in India before the 5th century. Through translations of this text, the knowledge was transmitted to the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later, by the various commentaries and their cross-references made by the eastern Buddhist scholars, the Indian medical knowledge was discussed in more detail. This “Chapter” addresses the change of seasons, the arising of disease, and the quality of food. As the “Chapter” shows, in ancient India it was understood that the material worlds all possess three energies, or “Tri-doṣa,” which assigned distinct qualities of all living beings based on a certain composition ratio. These energies could be correlated with seasons, the human body, and the qualities of food. Furthermore, as seasons changed, imbalance in these energies within the body arose and could lead to illness. Treatment was based on the intake of foods to complement these imbalance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qualities of one’s own body and the seasons. The “Chapter” convey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ndian medicine regarding the causes of illness and their remedies. However, it seems that the Indian medical knowledge has not been well accepted into the East Asian countries or understood without confusion to the translators or the scholar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ir own medical system,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Yin-Yang(陰陽) and the Five Phases (五行, Wuxing), was flourishing for centuries in East Asia, and thus the people hav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diseases and their treatments. The Indian medical knowledge likely was compromised or even nullified through the channel of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al system. Understanding the Indian system of nutrition for treating diseases or identifying a food’s qualities was also deemed challenging. Wonhyo, the eminent Korean Buddhist scholar in Silla, for example, sought to interpret the causes and treatments of diseases in terms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in his own commentary on the “Chapter,” which can be evaluated as a very proactive, yet almost inevitable, choice in his era.

    - COLLAPSE
    31 December 2023
  • 해외논단

    제6장 『두르가띠빠리쇼다나 딴뜨라 (Durgatipariśodhana-tantra)』-사자(死者)의 구제와 후생안락을 목적으로- (櫻井宗信)

    Durgatipariśodhana-tantra: For the purpose of saving the dead and procuring a better rebirth for the dead

    강향숙

    Kang, Hyang-sook

    『두르가띠빠리쇼다나 딴뜨라』는 사후에 망자를 지옥・아귀・축생과 같은 악취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건립하는 만다라와 관정 등 밀교의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악취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기 …

    Durgatiparishodhana Tantra introduces the contents of esoteric Buddhist rituals such as maṇḍala and ābhiṣeka, which are built to escape the dead from …

    + READ MORE
    『두르가띠빠리쇼다나 딴뜨라』는 사후에 망자를 지옥・아귀・축생과 같은 악취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건립하는 만다라와 관정 등 밀교의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악취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장례의식과 추선의례(追善儀禮), 구제한 중생의 장수연명을 위한 의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4종 호마법인 식재(息災)・증익(增益)・경애(敬愛)・항복(降伏)법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밀교의 관정을 수여받은 아사리는 악취에 떨어진 망자를 구제하기 위해서 만다라를 조단하고 관정을 집행한다. ‘무량수 만다라’는 연명장수를 실현함으로써 악취에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범부 및 깨달음의 달성을 목표로 하는 행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오기 위한 만다라이다. ‘수명성취 만다라’는 사신(死神)을 복종시켜 생각지 못한 죽음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고 연명장수를 실현하기 위한 만다라이다. ‘분노 만다라’는 중생에게 화복(禍福)을 가져오는 모든 장애마를 몰아내는 분노존 만다라이다. 아사리는 이러한 만다라를 조단하여 관정의식을 행한다. 관정의식은 아사리와 만다라를 구성하는 특정 존격의 합일을 가능하게 하며, 아사리는 존격이 가진 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아사리는 망자를 관정의 장소로 소청하여 부처의 세계인 만다라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때 망자는 부처의 자비에 의해 악취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Durgatiparishodhana Tantra introduces the contents of esoteric Buddhist rituals such as maṇḍala and ābhiṣeka, which are built to escape the dead from the worlds of hell, hungry ghosts, and animals after death. In addition, there are funeral ceremonies and rituals for saving living beings from evil worlds, rituals for the long life of saved living beings. And It explains how to perform the four types of homa to save living beings: śāntika[息災], pauṣṭika[增益], vaśīkaraṇa[敬愛], abhicārika[降伏]. Ācārya, who has been awarded the ābhiṣeka of the esoteric Buddhism, creates a maṇḍala and performs the ābhiṣeka to save the dead who have fallen into evil worlds. ‘Infinite Life Maṇḍala’ is a maṇḍala that is intended to bring benefits to both ordinary people who are afraid of falling into evil worlds and practitioners who aim to achieve enlightenment by obtaining longevity. ‘Life Achievement Maṇḍala’ is a maṇḍala to save living beings from unexpected death and achieve long life by obeying the god of death. ‘Wrath Maṇḍala’ is an wrathful Buddha maṇḍala that drives away all the hindrance demons that bring misfortune to living beings. Ācārya creates this maṇḍala and performs a ābhiṣeka ritual. The ābhiṣeka ritual enables the union of the ācārya and the specific buddha that make up the maṇḍala, and the ācārya can use the power of the buddha. According to this principle, ācārya invites the dead to the place of ābhiṣeka so that they can enter the maṇḍala, the world of Buddha. And at this time, the dead is freed from evil worlds by the mercy of Buddha.

    - COLLAPSE
    31 December 2023